전시&행사

  • Home
  • 커뮤니티
  • 전시&행사
전시&행사

[국제성서박물관] 개관30주년 기념 『한글을 사랑한 사람들』 기획전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05-02 16:58 조회121회 댓글0건

본문

c0dcc7566972bec9ab555ef58a7e4155_1746581139_7019.png
『한글을 사랑한 사람들』 전시 포스터


c0dcc7566972bec9ab555ef58a7e4155_1746574823_1314.jpeg
<전시장 모습 1>


c0dcc7566972bec9ab555ef58a7e4155_1746574823_2165.jpeg
<전시장 모습 2>


c0dcc7566972bec9ab555ef58a7e4155_1746574823_3248.jpeg
<전시장 모습 3>


c0dcc7566972bec9ab555ef58a7e4155_1746574823_4206.jpeg
<전시장 모습 4>


c0dcc7566972bec9ab555ef58a7e4155_1746574823_5252.jpeg
<전시장 모습 5>


국제성서박물관

2025 기획전시 『한글을 사랑한 사람들』 개최


<전시개요>


전시명: 한글을 사랑한 사람들

전시기간: 2025.05.07 ~ 2026.04.05

전시장소: 국제성서박물관 기획전시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경인로 349번길 16, 주안감리교회 nbridge 건물 2)

문의: 학예연구실 032)874-0385


<전시내용>

 

국제성서박물관에서는 2025년 기획전시 '한글을 사랑한 사람들'을 개최합니다.

 

2025년 국제성서박물관에서는 인천광역시의 등록사립박물관 활성화 사업지원으로 기획전시한글을 사랑한 사람들>을 마련하여 본관이 소장하고 있는 한글과 관련된 500여점의 다양한 지류 유물들을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K-컬쳐(한국 대중문화)'의 영향으로 'K-언어'인 한글 역시 세계적으로 관심받는 언어가 되었지만 처음부터 한글이 사랑받은 것은 아닙니다.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에 의해 1446년 창제된 이후에도 양반들은 여전히 한자를 사용했고 한글(훈민정음 혹은 언문)은 언해 서적이나 여성들의 소설 등에서 유지될 뿐이었습니다. 더구나 20세기 초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제의 강압으로 인해 한글은 사라질 위기에 처하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글이 현재에 이르게 된 것은 한글을 사랑하고 이를 널리 쓰도록 만든 많은 사람들의 헌신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특별히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1910~1945)의 암울한 시기에 한글의 가치와 우수함을 깨닫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한 사람들은 서양에서 온 선교사들이었습니다. 그들은 한국어와 한글을 익혀 순한글로 번역한 성경뿐만 아니라 띄어쓰기와 문장부호를 사용하고 사전을 펼쳐내는 등 한글의 발전 및 보급과 출판 사업에 앞장섰습니다.

 

이번 기획전시에는 그동안 전시하지 못했던 박물관 소장품 중 기독교와 한글이라는 주제 아래 본 박물관의 설립자이신 ()한경수 감독의 컬렉션에 속하는 한자와 한글을 함께 기록한 17~18 세기 시경언해를 비롯하여 최초 순한글 번역 성경인 예수셩교젼셔(영인본), 19세기 순한글 학습교재인 초학언문, 대한신지지, 1911년 출판된 셩경젼셔부터 21세기의 성경까지 한글 변화와 역사의 발자취가 담겨 있는 500점의 지류 유물들을 바탕으로 한글을 만든 사람들’, ‘한글을 다시 찾은 사람들’, ‘한글을 사랑한 사람들’ ,‘한글을 발전시킨 사람들이라는 역사적 시간의 흐름을 바탕으로 한 4가지 주제 아래 관련된 한글 성경 및 일반, 기독교 서적들을 전시하고, 인터렉티브 월 디지털 체험 및 세종대왕과 사진을 찍어보는 인생네컷 체험을 통해 다각도로 전시를 관람할 수 있도록 마련했습니다.

 

한글의 변화와 발전의 역사 가운데 함께한 이들을 찾아보고 그들이 남긴 다양한 유산들을 돌아봄으로 한글의 현 주소와 세계화의 중심에 있는 한글의 미래를 설계해 보는 귀한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 전시기간: 2025.05.07 ~ 2026.04.05

■ 관람료: 성인 7,000, 학생(초등학생이상)65세 이상 5,000, 미취학 및 장애인 무료

■ 관람시간: 화요일~토요일 오전 10~ 오후 5(4시 입장마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